top of page

내부 IP 차단하는 방법, 구글 애널리틱스4(GA4) | 지아이코퍼레이션




안녕하세요! 지아이코퍼레이션입니다. ​

이번 편은 GA4에서 내부 IP를 차단하는 방법 소개할게요! ​ 내부 IP를 왜 차단해야할까요? '데이터 정합성' 때문이죠. ​ 만약 우리와 클라이언트의 접속 데이터까지 GA4에서 수집된다면, 유입경로와 행동 그리고 전환까지 모든 데이터가 섞이게되고 ​ 결국 데이터의 정합성이 떨어지겠죠.


그렇기 때문에 GA4를 세팅할 때 꼭 기본으로 설정해줘야합니다. ​ 그럼 시작해볼까요?!


 

1. 내부 트래픽 정의

 


가장 먼저 내부 트래픽을 정의하는 단계입니다. 관리 > 데이터 스트림에 접속합니다.




이후에 '태그 설정 더보기'로 접근합니다.




그리고 태그 구성 중에 '내부 트래픽 정의'로 들어갈게요. ​




 

2. 내부 트래픽 규칙 만들기

 


앞 단계(정의)까지 접속하시면 '규칙 만들기' 작성란이 뜹니다. ​ 작성란은 아래를 참고해서 입력해주세요. ​ 1. 규칙이름 : 회사 또는 클라이언트명 입력합니다. 2. 트래픽 타입값 : 기본 매개변수인 'internal'로 유지해주세요. 3. 검색유형 : IP주소를 정확히 할 때는 'IP주소가 다음과 같음' 하거나 '시작','포함' 등으로 규칙으로 지정하시면 됩니다. 4. 값 : IP주소를 입력하시는데, 파란박스 '내IP주소알아보기'를 클릭하시면 간편하게 확인할 수 있어요. 그리고 만들기 진행해주세요.



 

3. 데이터 필터 활성화

 


다시 GA4 관리 > 데이터 설정 > 데이터 필터에서 Internal Traffic로 들어갈게요.




그리고 필터 이름을 설정해주시고 필터 연산은 '제외'로 유지해주세요. ​ 앞에서 설정한 매개변수는 필터이름과 동일하게 설정해주시고 필터 활성을 해주시면 됩니다. ​ 만약에 필터 테스트를 먼저 해보고 싶은 분은




'활성'하기 전 '테스트' 설정 후에 실시간 보고서 > 비교 추가 필터 : 제외 측정 기준 : 테스트 데이터 필터 이름 측정 값 : 앞에서 설정한 값 (예 : gicorporation) 으로 설정하시면 실시간 데이터가 수집 되고 있는지 제외되고 있는지 확인 가능합니다! ​ 파란그래프는 139명인데, 필터를 적용한 주황 그래프는 138명으로 제 IP가 차단된 모습이네요. ​ 테스트 이후에 활성화 하셔도 됩니다!~ ​



내부 IP 차단하는 방법, 생각보다 어려운 과정은 아니었죠? ​ 만약에 GA4를 설정하는 담당자 외에도 다수의 관계자분들의 IP를 제외해야할 경우도 있을 텐데요, 다음 컨텐츠는 CIDR 표기법으로 IP주소 규칙을 적용하는 방법 소개할게요. ​

그럼 다음 편에서 만나요!~





bottom of pag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