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op of page

산세리프 서체에 대해 알아보자 | 지아이코퍼레이션

최종 수정일: 2024년 8월 2일


산세리프 서체에 대해 알아보자

안녕 내 이름은 산세리프 , 한국말로 고딕체야



내가 바로 산세리프 내가 바로 고딕체야

고딕체의 대표격 인기많은 꼬딕씨이다


산세리프 (Sans-serif)

일단 지난번엔 세리프에 대해 알아봤는데

오늘은 산이붙은 산세리프에 대해 알아볼거야



산

산세리프의 산은 바로 저기 뒤에 보이는 큰 산에서 따온걸까?



아쉽지만 그건 아니야 프랑스어로 Sans라는 말은 [없는, 없다] 라는 의미를 가지고 있는거야 그래서 세리프처럼 획이 있었던거랑은 다르게 나는 획이 없는거야 조금 더 구체적으로 말해줘보자면 글자 획의 굵기가 변하지 않고 가로획과 세로획이 거의 일정하면서 획의 끝에 장식이 없는 걸 말하는거야 고딕체의 인상은 강하고 직설적이어서 현대 디자인에서 굉장히 많이 쓰이기도 해 보통 어디에서 많이 사용하냐면 제목이나 간판 , 신문의 헤드라인 한눈에 바로 볼 수 있는 것에서 보통 크게크게 사용되는 편이야! 옛날에는 컴퓨터 모니터가 해상력이 좋지않아서 명조체를 잘 표현하지 못했을때 고딕체를 디스플레이용으로도 사용했다고해 ! 지금은 인쇄술 , 컴퓨터 등 다양한 방면으로 세상이 발달해서 세리프 산세리프 구분 없이 다 잘보이고 자주 사용하는 편이야!





 

산세리프의 역사

 

산세리프의 역사를 살펴보면 아주 재밌을거야

일단 이 서체가 등장하게 된건 영국의 활자디자인가문의 자손인 윌리엄 캐슬론 4세가

1816년에 '투 라인 잉글리시 이집션'이라는 폰트를 내보냈지

그때 보냈지만 1830년대 전까지는 산세리프체는

일반 대중들한테 잘 알려지거나 하지는 않았어

이 비슷한 시기에 활자디자이너인 윌리엄 소로굿이라는 사람이 세리프가 없는

산세리프폰트, 즉 고딕체를 그로테스크 라는 단어로 불렀지

그로테스크라는 단어는 본래 뜻이 기괴한 , 터무니없는 이라는 뜻을 가지고 있는데

고딕체를 그로테스크라고 불렀다는게 신기하지?

왜그랬냐면 산세리프가 등장하기 전 500년에 걸쳐서 그때까지도

세리프서체만 보고 살다가 산세리프라는 것이 나왔으니

사람들에게 산세리프체는 기괴함으로 다가왔기 때문이었을거야

21세기에 태어난 지금의 사람들은 상상도 할 수 없는 일이긴 하지만말야

현대에선 고딕처럼 가독성좋고 심미성 좋은 폰트 찾기도 힘들다고들 하지.





 

산세리프 서체들

 

푸투라


FUTURA

한국어로는 푸투라 라고 읽는 서체야


푸투라

출처 나무위키


이 서체는 영문서체로 만들어진 산세리프 서체야 독일 활자체 디자이너인 파울레너 라는 사람이 1927년에 처음 발표해서 만들었어 20세기 지오메트릭 산스를 대표하는 활자체로

이 푸투라를 기점으로 후대의 많은 작품들이 이 서체의 영향을받았어 요즘엔 레트로 뉴트로 하는 서체들도 이 서체가 많이 사용된다고 해!



Supreme

우리가 잘 알고있는 이 로고!

이것도 FUTURA 로 디자인된 로고야

푸투라 서체를 기울여서 이탤릭

표현을 해서 만들어 진거지



길산스


길산스


길산스는 20세기 초 영국에 거대한 폰트 회사가 있는데

모노 타입이라는 회사야

모노 타입에서 전통적인 폰트의 모던화(현대화)를 추구해서

조각가이면서 일러스트레이터로 활동하는 에릭길 이라는 사람을

존스턴 서체를 이용해서 산세리프와 세리프의

두 장점을 가지고 있는 길산스 서체를 탄생 시켰어

길산스 서체는 1930년 전후 즈음 처음 나와서

푸투라서체 보다는 동생인 격이지

길산스는 당시 유럽에서 유행하던

산세리프의 기하학적 형태 기본골격을 가져가면서

세리프 서체가 가지고 있는 글자모양도 참고해서

디자인 적용된 서체야

이 글자가 나온 건 그 당시 유럽 전역에서

유행하던 모더니즘에서 시작했다고 볼 수 있지



BBC NEWS

우리가 아는 BBC 유명 방송국 로고가 바로 이 길산스 서체로 탄생 된 거야




유니버스


유니버스

유니버스 하면 역시 MCU

마블시네마틱유니버스지

아닌가?

그럼 시내버스?



유니버스 서체

유니버스 서체는 프루티거라는 사람에 의해서 개발된 서체야

유니버스는 지금 봐도 놀라운데 놀라운 게 한 두 가지가 아니니깐 잘 보라구

총 44개의 타입페이스로 구성 되있어

굵기 길이 위치에 따라서 16개 숫자 시스템으로 분류된다는 거고

여기서 20종은 오블리크,

8종은 유러피안 콤비네이션 캐릭터 세트( 마치 피자 이름 같다 )

또 다른 8종은 키릴 캐릭터세트 이런걸 지원하는 서체야

일단 이 친구의 가장 큰 강점은 아이템이 굉장히 많다는 거야

미적 요소도 가지고 있고 일관성 있는 원칙도 가지고 있어

거기에 다양한 두께까지 가지고 있으니

많은 디자이너들이 좋아하지 않을 수가 없었겠지?

그리고 어떤 매체에 사용해도 굉장히 무난하게 잘 흘러가는 서체야

언제 봐도 우아하고 현대적인 품위가 느껴지는 유니버스거든



페덱스

우리가 잘 알고 있는 페덱스 로고!!

여기서도 유니버스 서체가 사용 되었다구!



유니세프

국제기구인 유니세프까지... 대단해!




헬베티카



헬베티카

헬베티카는 1957년에 스위스에서 탄생 된 서체야

가독성이 높은 헬베티카라서 정확함 , 정교함 , 신뢰로

연결되는 직관적 이미지의 서체여서

뉴욕이나 도쿄 , 다른 대도시들의 지하철 사인부터

아메리칸 에어라인 같은 항공사의 로고 타입에 이르기까지

디자인 대상과 영역의 구분 없이 폭 넓게 사용이 되었어

이 서체 자체가 디자인 업계에서 굉장히 유명한 서체라서

실제 대학의 많은 교수들이 영문 서체로 이 서체를 많이 추천하지

헬베티카는 이름부터 스위스의 향기를 강하게 풍기는데

스위스 민족의 조상은 켈트족의 한 갈래인 헬베티아족이며

스위스의 옛 이름은 헬베티아였어

그래서 헬베티카 서체는 스위스 모더니즘과 동일시되는 서체고

스위스 모던 타이포그래피 양식은 2차 세계대전 이후에 꽃 피워서

그 형태와 정신의 씨앗은 1920, 30년대의

신 타이포그래피에서 찾을 수 있는 것 이지

자 서체 종류는 여기까지 알아보도록 하지




산세리프 디자인


산세리프 디자인

아메리칸 버거의 포스터 광고야

산세리프를 사용해 가독성을 높인 모습이지



아이소메트릭

고딕체로 타이포자체 디자인을

아이소메트릭으로 표현한 작품이야




산세리프

출처 URO DESIGN


종종 세리프체도 보이긴 하지만

가독성 좋은 산세리프들이 많이 보이지?



고딕서체

출처 비주얼다이브


전반적으로 고딕서체로 디자인된 작업물이야 문구도 좋고 고딕체도 아주 잘보이지

자 오늘은 산세리프에 대해 알아보았는데 재밌게 읽었다면 좋아요 공감 서로 이웃 추가

모두 모두 눌러주길 바래

그럼 안녕~





bottom of pag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