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op of page

디지털 마케팅 용어&지식 A to Z - 1탄 | 지아이코퍼레이션





안녕하세요! 마린이 여러분!

(마케팅을 처음 시작하는 어린이)

마케팅을 배우고 싶은데 뭐부터 봐야할지 모르겠다?!

신입 마케터라 배워야 할 게 산더미다?!

앞으로 GI가 마케팅의 기본부터 심화까지

디테일하게 알려드릴테니, 걱정마세요!



 

최 대리 曰

" 김 사원님 네이버 SA에서 CPC가 전월 대비 20%증가했네요,

확인 한 번 해주세요 "

김 사원 曰

" 네?...SA, CPC요?..."


 


오늘도 당황하는 김사원을 위한,

디지털 마케팅 기초 용어 정리!

지금 바로 시작합니다!




 

1. 광고 유형

 


SA

(Search Advertising)



SA는 검색 광고를 의미합니다.

포털에 검색어를 입력하면 뜨는 텍스트 기반의 광고,

다들 한 번쯤 보셨죠?

예를 들어, 세탁기를 검색하게 되면

위 사진처럼 각 브랜드의 상품들이 광고 형태로 나열됩니다.

이처럼 키워드를 기반으로 한 광고인데요.

이 세상 모든 키워드를 대상으로 광고할 수는 없고,

포털 내에서 등록 가능/불가능한 키워드가 구분되어 있습니다.

검색광고는 보통 우리나라에서 사용량이 많은 TOP3 포털!

네이버, 다음, 구글에서 가장 활발해요!




DA

(Display Advertising)



DA는 디스플레이형 광고(배너광고)로

이미지, 배너, 동영상 등 다양한 형태로 노출할 수 있는 광고입니다.

PC나 모바일을 이용해 본 사람이라면

누구나 한 번쯤 마주했을 광고입니다.

포털 메인화면부터 뉴스 지면의 구석구석까지!

아주 많은 지면들이 있어요 +.+!

따라서 배너광고를 하고 싶다면,

어떤 지면에, 어떻게 실릴지를 고민해야겠죠?




OOH

(Out Of Home)




OOH는 옥외광고인데요.

버스를 기다리며 우연히 보게 된 그 광고!

정류장, 버스 옆면에 랩핑된 광고 등이 옥외광고입니다.

옥외광고는 특정 타겟을 대상으로 노출할 수는 없지만

불특정 다수, 즉 많은 사람에게 노출할 수 있어

브랜드에 대한 인지를 높이려는 목적으로 광고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DOOH

(Digital Out Of Home)



그냥 옥외광고와는 구분되는 디지털 옥외 광고!

'디지털'이라는 단어가 붙은 만큼

무인 주문 기기, 지하철 스크린 등

디지털 스크린의 형태로 보여지는 옥외광고입니다.

사진은 삼성동 K-pop스퀘어인데,

정말 실감나게 표현하지 않았나요?!!!*.*!!




 

2. 마케팅 지표

 

자, 그럼 이제 본격적으로 마케팅 지표를 알아볼까요?



PV

(Page View)


PV는 웹사이트를 방문한 고객이

웹사이트 내에서 페이지를 열람한 횟수!

예를 들어 우리가 맛집을 알아보기 위해 검색하다가

어느 한 가게의 웹사이트에서 '메뉴' 탭도 보고,

'위치' 탭에서 어딘지 확인하고, '후기'도 보는 등

여러 페이지를 들어가 탐색하죠?

그럼 이 경우의 PV는 3회예요.




UV

(Unique View)


UV는 웹사이트를 방문한 순수 방문자 수!

사이트에 방문한 사용자의 로그인정보,

쿠키정보,접속IP 등을 집계한 것인데요,

예를 들어 A라는 사람이 특정 웹사이트에

2시,4시,6시에 총 세 번 방문할 경우,

PV는 3회로 집계되지만 UV는 1회입니다

PV는 중복 방문을 모두 기록하지만,

UV는 중복이 아닌 방문자를 기준으로 집계하기 때문이죠.




KPI

(Key Performance Indicator)


한글로 번역하면 '핵심성과지표'라고 하며,

기업에서 목표달성 및 전략을 수치화한 것입니다.

KPI는 상황과 목적에 따라 다르게 설정해야 합니다.

예를 들면 아래와 같이 설정할 수 있어요.

ex) 전 월 대비 CTR 25% 증가, 전환 100건 달성




CPM

(Cost per mile)


광고 노출 1000회 당 지출되는 비용!

CPM은 과금 지불 방식 중에 하나이며

'1000회 노출 당 비용'으로 표현하기도 합니다.

그럼 문제 나갑니다!

Q. 200,000회 노출되었는데,

지출된 광고비가 100,000원일 경우 CPM은?

정답 : 100,000/200,000*1,000= 500원

(드래그하면 정답이 보입니다.)




CTR

(Click through ratio)


CTR은 광고 클릭률인데요.

웹페이지 노출 대비 몇 번의 클릭이 발생했는지 확인하는 지표입니다.

여기서도 문제!

Q. 노출 1000회 중 클릭이 100회 발생하면 CTR은?

정답 : 100/1000= 10%

(드래그하면 정답이 보입니다.)




CPC

(Cost per click)


CPC는 1회 클릭 시 지출되는 비용을 얘기합니다.

'클릭 당 비용'이라고도 하는데요.

수많은 과금 방식 중 하나이며

경쟁 입찰 방식으로 금액이 결정됩니다.

만약 CPC가 높고, 클릭이 다수 발생한다면

비용이 엄청커지겠죠? ㅇㅅㅇ?

Q. 검색광고에서 100,000원을 사용해서 클릭이 100회 발생한다면 CPC는?

정답 : 100,000/100= 1,000원

(드래그하면 정답이 보입니다.)




CVR

(Conversion Rate)


온라인 광고를 하는 목적은 여러가지 입니다.

상품 판매, 브랜드 인지도 제고 등 매우 많죠.

CVR은 전환율을 뜻하는데요.

클릭해서 들어온 사용자가 전환을 일으킨 비율입니다.

여기서 전환이란, 사용자의 행동 중 그 목적과 가장 유사한 행위를 말합니다.

예를들면, 온라인상담신청, 구매하기, 전화상담 등

중요하게 생각하는 지표들을 전환으로 설정할 수 있습니다.

Q. 광고 클릭으로 사이트에 방문한 100명 중 10명이 전화하기 버튼을 클릭(전환)했다.

여기서 CVR은?

정답: 10/100= 10%

(드래그하면 정답이 보입니다.)




CPA

(Cost per Action)


여러분, CPM, CPC 기억하시나요?

* CPM: 1000회 노출 당 비용

* CPC: 클릭 당 비용

자 그럼 전환 당 비용은 무엇일까요? CPA입니다.

CPA는 CPM, CPC와 마찬가지로,

지출 된 비용을 전환수로 나누면 돼요.

Q. 이번 달 100,000원을 사용했는데 전환이 10건 발생했다면 CPA는?

정답 : 100,000/10=1,000원

(드래그하면 정답이 보입니다.)



용어들이 정말 많죠?

처음에는 복잡하고 머리아플지 몰라도,

한 번 제대로 숙지해두면 정말 기본적인 용어라는 것을 알게되실 거예요!

가장 기초이며 중요한 용어인 만큼,

1탄으로 선정해 정리했으니, 꼭꼭 숙지하도록 합시다!

다음주 2탄도 기대해 주세요!

이웃, 댓글, 공유는 GI에게 아주 큰 힘이 됩니다 ^__^

궁금하신 점은 언제든 댓글로 문의주세요!





bottom of page